Computer Science/Network

[Network] 모두의 네트워크 / 4장 데이터 링크 계층: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Bay Im 2023. 12. 15. 17:35

LESSON 12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

  •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
      •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칙은 이더넷
    •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필요
  • 이더넷
    • 여러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해도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
    • 데이터를 보내는 시점을 늦추는 것 (CSMA/CD)

 

LESSON 13 MAC 주소의 구조

  • MAC 주소
    • 랜 카드에는 MAC 주소라는 번호가 정해져있다. (물리 주소)
    • 전 세계에서 유일한 번호로 할당

 

LESSON 14 스위치의 구조

  • 스위치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
    • 레이어 2 스위치, 스위칭 허브 라고도 불린다.
    • 스위치 내부에는 MAC 주소 테이블이라는 것이 있다.
      • MAC 주소 테이블: 스위치 포트 번호와 해당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MAC 주소가 등록되는 데이터베이스

 

LESSON 15 데이터가 케이블에서 충돌하지 않는 구조

  • 전이중 통신 방식
    • 데이터 송수신을 동시에 통신하는 방식
  • 반이중 통신 방식
    • 회선 하나로 송신과 수신을 번갈아가면서 통신하는 방식
    •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 발생
    • 스위치 사용 시 전이중 통신 방식 사용하기 때문에 효율이 높아진다.
  • 충돌 도메인
    • 데이터 동시 전송 시 충돌이 발생할 때 그 영향이 미치는 범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