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 9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 물리 계층
-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 시 가장 아래 계층인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
- 전기 신호
- 아날로그 신호
- 물결 모양의 전기 신호
- 전화 회선, 라디오 방송에 사용
- 디지털 신호
- 직사각형 막대 모양의 전기 신호
- 아날로그 신호
- 랜 카드
- 0과 1의 정보가 컴퓨터 내부에 있는 랜 카드로 전송
- 랜 카드는 0과 1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
- 상대방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0과 1의 비트열은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되고, 상대방이 받은 전기 신호는 다시 0과 1의 비트열로 복원된다.
Lesson 10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 전송 매체
- 데이터가 흐르는 물리적인 선로
- 유선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광케이블
- 무선
- 라디오파, 마이크로파, 적외선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랜 케이블)
- UTP 케이블
-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
- STP 케이블
- UTP 케이블
Lesson 11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 리피터(repeater)
-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일그러진 전기 신호를 복원)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중계 장비
- 허브
- 포트(실제로 통신하는 통로)를 여러 개 가지고 있고 리피터 허브라고도 부른다.
- 컴퓨터 여러 대와 통신할 수 있다.
-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
- 데이터를 송신받을 때 한 컴퓨터만 받는게 아니라, 나머지 컴퓨터에도 송신된다. (더미 허브)
728x90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모두의 네트워크 / 5장 네트워크 계층: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0) | 2023.12.15 |
---|---|
[Network] 모두의 네트워크 / 4장 데이터 링크 계층: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0) | 2023.12.15 |
[Network]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Chapter 05 광역 통신망 WAN (0) | 2023.10.20 |
[Network]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Chapter 04 근거리 통신망 LAN (0) | 2023.10.20 |
[Network]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Chapter 03 데이터링크 (1) | 2023.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