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 17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
- 이 계층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라우터라는 네트워크 장비가 필요
- 라우터
- 데이터의 목적지가 정해지면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좋은지 알려주는 기능
- DHCP 기능
- Ip 주소 자동 할당
- IP 주소
- 네트워크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
- 어떤 네트워크의 어떤 컴퓨터인지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
-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를 지정할 수 있다.
- 라우팅
- IP 주소까지 어떤 경로로 데이터를 보낼지 결정하는 것
- 라우터로 사용
- 라우팅 테이블
- 경로 정보 등록 및 관리
- IP(Internet Protocol)
- IP 헤더
- 출발지 IP 주소, 목적지 IP 주소
- IP 패킷
- IP 프로토콜을 캡슐화하여(ip 헤더 추가) 만들어진 것
- IP 헤더
- IP 주소
- 네트워크의 목적지로 보내려면 필요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에게 받을 수 있다. - 공인 ip 주소
- IP 버전에는 IPv4와 6 두 종류
- 사설 ip 주소는 회사나 가정의 랜에 있는 컴퓨터에 할당
- 10진수로 표시
- 네트워크 주소
- 전체 네트워크에서 작은 네트워크를 식별하는데 사용
- 자신의 ip 주소로 설정 불가
- 브로드캐스트 주소
-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나 장비 모두에게 한 번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용 ip 주소
- 자신의 ip 주소로 설정 불가
- 서브넷
- 대규모 네트워크를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하여 전송되는 패킷의 범위를 줄인다. (서브넷팅)
- 분할된 네트워크 (서브넷)
- 네트워크 id, 호스트 id → 네트워크 id, 호스트 id, 서브넷 id
LESSON 22 라우터의 구조
- 라우터
- 네트워크 분리
- 기본 게이트웨이
- 네트워크의 출입구를 설정하는 것
- 라우팅 테이블
- 경로 정보 등록 (자동, 수동)
-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터 간에 라우팅 정보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728x90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모두의 네트워크 / 6장 전송 계층: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0) | 2024.01.02 |
---|---|
[Network]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Chapter 07 네트워크 층 -1 (0) | 2023.12.15 |
[Network] 모두의 네트워크 / 4장 데이터 링크 계층: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0) | 2023.12.15 |
[Network] 모두의 네트워크 / 3장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0) | 2023.12.15 |
[Network]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Chapter 05 광역 통신망 WAN (0) | 202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