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더넷(Ethernet)
- LAN은 제한된 지역(빌딩, 캠퍼스 등)에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컴퓨터 네트워크
- 1980~1890년대에 여러 형태의 LAN 프로토콜 사용
- IEEE는 데이터 링크층에 두개의 부계층을 두도록 설계
- 논리 링크 제어 부계층
- 매체 접근 제어 부계층
- 이더넷의 발전
- LAN은 1970년대에 개발
- 표준 이더넷, 고속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 10기가비트 이더넷 등 4개 세대로 발전
- 표준 이더넷
- 10Mbps로 동작
- CSMA/CD 방식으로 매체에 접속
- 매체는 모든 지국들 사이에서 서로 공유
- 프레임 형식
- 프리엠블
- 시작 프레임 지시기
- 목적지 주소
- 발신지 주소
- 유형
- 데이터
- CRC
- 주소 지정
- 이더넷 네트워크에 있는 각 지국은 자신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를 가지고 있음
- 각 NIC는 지국 내부에 설치, 6바이트의 링크층 주소를 지국에게 제공
- 유니캐스트
- 발신지 주소
-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 목적지 주소
- 고속 이더넷
- 데이터율을 100Mbps로 올리기
- 표준 이더넷과 호환성 구축
- 동일한 주소체계, 프레임 유지
- 자동 협상
- 추가된 새로운 기능
- 두 지국이 전송 모드 또는 데이터 속도를 협상할 수 있도록 한다.
- 기가비트 이더넷
- LAN을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 데이터 전송률, 커버리지 거리 확장
- MAC 부계층
- 매체 접근에 대해 반이중과 전이중 접근 방식 제공
- 전이중 모드
- 모든 컴퓨터에 연결된 중앙 스위치가 있고 충돌이 없다
- 반이중 모드
- 스위치가 허브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 IEEE 802.11
- 물리 및 데이터 링크층을 포함하는 무선 LAN 사양
- 무선 이더넷이라고도 하며 WiFi 용어를 무선 LAN의 동의어로 사용
- 기본 서비스 집합과 확장 서비스 집합 서비스를 정의
- 두가지 MAC 부계층을 정의
- 분산 조정 함수
- 점 조정 함수
- 블루투스
- IEEE 802.15
- 서로 짧은 거리에 있을 때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설계된 무선 LAN 기술
- 블루투스 LAN 은 애드 혹 네트워크
- 장비를 서로 발견하여 피코넷 이라는 네트워크를 만든다.
- 피코넷
- 7개까지 지국을 가질 수 있다.
- 피코넷
- 계층
- 논리 링크 제어 및 적응 프로토콜
- 기저대역 계층
- TDMA
- 단일 종국 통신
728x90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모두의 네트워크 / 3장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0) | 2023.12.15 |
---|---|
[Network]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Chapter 05 광역 통신망 WAN (0) | 2023.10.20 |
[Network]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Chapter 03 데이터링크 (1) | 2023.10.19 |
[Network]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Chapter 02 물리층 (1) | 2023.10.19 |
[Network]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Chapter 01 컴퓨터 네트워크 개요 (1) | 2023.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