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 10

[OS] 리눅스 / 응용분야 (클러스터, 가상화, 모바일 운영체제)

리눅스 관련기술리눅스 클러스터고계산용 클러스터(HPC), 부하분산 클러스터(LVS), 고가용성 클러스터(HA) 등 3가지로 구분HPC는 고성능의 계산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슈퍼컴퓨터 구성에 주로 사용LVS, HA는 보통 함께 구성하여 웹서버를 비롯한 서버 분야에서 주로 사용고계산용 클러스터HPC, High Performance Computing cluster고성능의 계산 능력에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슈퍼컴퓨터가 HPC 클러스터로 구성하여 제작HPC 클러스터는 베어울프 클러스터라고도 한다PVM, MPI 같은 메시지 패싱 라이브러리가 등장하며 더 높은 성능을 내고있다채널본딩한 16노드 병렬 컴퓨터를 만들어 냈다슈퍼컴퓨터와 비교해도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다부하분산 클러스터LVS, Linux Virtuar ..

Computer Science/OS 2024.09.06

[OS] 리눅스 / 네트워크

네트워크컴퓨터 상호연결하여 정보 교환, 자료 공유 등을 구성한 통신망규모에 따라 근거리 LAN, 도시권 통신망 MAN, 광역 통신망 WAN으로 구분LAN집, 사무실, 학교 등 가까운 지역 네트워크 매체를 이용하여 묶는 근거리 통신망스타형모든 기기가 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일부 장애가 발생해도 전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중앙 컴퓨터 고장시 전체 네트워크 중단설치비용 많이 든다회선수 증가시 제어가 복잡하다버스형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컴퓨터를 연결하는 방법연결된 컴퓨터 수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을 좌우한다상호 간섭을 막기위해 중단에는 중단기(Terminator)가 존재한다CSMA/CD 와 토큰 패싱 사용링형연결된 앞의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내용을 다음 컴퓨터에 재전송하는 방법토큰 패싱 방법충돌 ..

Computer Science/OS 2024.09.05

[OS] 리눅스 / X 윈도우

X 윈도우X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디스플레이에 의존적이지 않고 이식성이 뛰어남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의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다XFree86, x.orgXFree86은 IBM 호환 시스템을 사용하는 리눅스, 유닉스 계열의 X윈도 프로젝트2004년 이후의 대부분 리눅스 배포판은 X.org 사용xlibX윈도에서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윈도우 창 생성, 이벤트 처리, 창 조회, 키보드 처리 등 제공XCBxlib보다 향상된 쓰레딩 기능 지원확장성 뛰어나고 라이브러리 크기가 작아 직접 X프로토콜에 접근 가능X윈도우 구조X서버는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서로 통신은 X 프로토콜을 사용기본 구조가 네트워크 기반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 입력시 6000번 포트를 통해 전달X윈도우 설정XFree86XF..

Computer Science/OS 2024.09.05

[OS] 리눅스 / 장치 (프린트, 사운드 카드, 스캐너)

프린터LPRng유닉스에서 프린터를 지원해주는 인쇄 시스템BSD, System v 계열 명령어 지원설정 정보는 /etc/printcap 파일에 저장초기에는 printtool, printconf 도구 사용하여 환경설정CUPS애플이 개발한 오픈소스 프린팅 시스템다양한 운영체제 지원HTTP 기반의 IPP 사용웹을 통해 장치 제어 가능설정 정보는 /etc/cups/printers.conf 파일에 저장프린터 관련 명령어BSD 계열-lpr: 프린터 작업 요청-lpq: 프린터 큐에 있는 작업 목록 출력-lprm: 프린터 큐에 대기중인 작업 삭제-lpc: 프린터나 프린터 큐 제어System v 계열-lp: 프린터 작업 요청-lpstat: 프린터 큐의 상태 출력-cancel: 프린트 작업 취소lpr프린터 작업을 요청하는 ..

Computer Science/OS 2024.09.05

[OS] 리눅스 / 소프트웨어 설치 (rpm, yum 등)

소프트웨어 설치압축풀기→ 디렉터리 이동→ configure→ make→ make installconfigure자신 환경에 맞게 수정하도록 제공되는 스크립트make실행 파일 만들기make intsall디렉터리에 설치cmakemake의 대체 프로그램멀티 플랫폼 지원, 오픈소스특징소프트웨어 빌드에 특화된 언어로 독자적인 설정 스크립트 (평행 빌드 지원)유닉스, 맥, 윈도우 등 모두 지원Swig, Qt, FLTK 지원크로스 컴파일 가능cmake 채택 프로젝트는 KDE, MySQL 등RPM (Redhat Package Manager)의 개요레드햇에서 만든 패키지 관리 기법설치, 갱신, 제거, 검증, 질의 등 관리파일 형식패키지이름-버전-릴리즈-아키텍처데비안 패키지 관리데비안 리눅스는 dpkg라는 데비안 패키지 관..

Computer Science/OS 2024.09.04

[OS] 리눅스 / 프로세스, 스케줄링

프로세스실행 중인 프로그램은 프로세서라고 한다실행시 번호(PID)가 할당되어 관리된다입력없이 실행 되는 Background 프로세스명령 입력 후 수행 종료까지 기다려야하는 Foreground 프로세스가 있다프로세스 생성fork메모리 할당 후 복사본 형태의 프로세스 실행기존 프로세스는 그대로 실행된다exec원래 프로세스를 새로운 프로세스로 대체하는 형태호출한 프로세스 메모리에 새로운 프로세스의 코드를 덮어쓴다리눅스 부팅시 커널이 init 프로세스를 발생시키고 PID 1번을 할당한다프로세스 종류Foreground종료까지 기다리는 프로세스Background뒤에서 실행포어그라운드 실행 명령어 뒤에 & 를 추가하여 실행한다다중 작업에 유용하다작업 전환포어→ 백ctrl + Z로 대기 상태 후 bg 입력백→ 포어fg..

Computer Science/OS 2024.09.04

[OS] 리눅스 / 셸

Shell커널과 사용자의 다리 역할명령 해석 및 실행주요 셸bashGNU 의해 개발다양한 OS 사용 가능리눅스의 표준 셸ex) echo $SHELL /bin/bashcshC기반이고 버클리 대학에서 개발히스토리 기능, 별명 기능, 작업 제어tcshcsh의 강화 셸kshAT&T 개발명령어 완성 기능, 히스토리 기능셸 확인echo $SHELL사용 중인 셸 확인chsh -l 혹은 cat /etc/shells변경 가능한 셸 확인셸 변경chsh 입력→ 사용자 암호 입력→ 절대 경로 입력→ 다음 로그인부터 유효셸 변수특정 셸에서만 적용되는 변수변수명=값 형태로 지정한다변수값 출력시 echo $변수명 으로 확인한다환경 변수현재 설정된 전체 환경변수의 값은 env로 확인한다.env의 주요 환경 변수HOME: 홈 디렉터리..

Computer Science/OS 2024.09.04

[OS] 리눅스 / 파일 시스템, 쿼터

파일 시스템OS가 파티션이나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 읽기, 쓰기, 찾기 위해 구성하는 일련의 체계종류minix: 초기 리눅스 파일시스템, 64MB, 램/부팅 디스크 사용ex: 2GB, 파일명 255자까지ext2: 4TB, 256 바이트 까지ext3: 대표 저널링 파일 시스템ext4: 대부분 사용, 기능 대폭 강화xfs:SGI 개발한 저널링 파일시스템jfs: IBM 개발한 저널링 파일시스템mount보조기억장치를 연결해서 사용 가능하게 해주는 명령특정 옵션 없이 mount 명령시 현재 마운트된 장치와 디스크 확인옵션-a: /etc/fstab에 명시된 파일 시스템 마운트 할 때-t: 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하지 않으면 /etc/fstab 파일을 참조-o: 마운트 할 때 추가 설정 적용 시umount마운트된 ..

Computer Science/OS 2024.09.03

[OS] 리눅스 / 허가권, 소유권, 특수 권한

허가권접근 권한소유권파일, 디렉터리 소유허가권/소유권 확인 명령어lsls -l예시ls -l 파일명. txt ⇒허가궝(사용자 그룹 그외사용자) 사용자 그룹-rwxrw-rw-. root rootls -l 명령 사용시 나오는 첫번째 항목(-)의 첫번째 알파벳 종류s: 소켓b: 블록형 장치 (디스크)c: 문자형 장치 (입출력)d: 디렉터리l: 기호(심볼릭)링크p: 파이프파일-: 일반적인 파일권한 표시r: 읽기w: 쓰기, 디렉터리는 생성, 삭제 권한x: 실행, 디렉터리는 내부 접근 권한chmod허가권 설정 명령문자, 숫자 모드 가능권한r, w, xu: 소유자g: 그룹o: 다른 사용자a: 모두옵션-R: 하위 디렉터리 포함 모든 디렉터리 내부 파일 접근권한 변경-c: 변경된 정보 출력-f. —silent: 중요한 메..

Computer Science/OS 202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