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OS

[OS] 리눅스 / 파일 시스템, 쿼터

Bay Im 2024. 9. 3. 20:28
  • 파일 시스템
    • OS가 파티션이나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 읽기, 쓰기, 찾기 위해 구성하는 일련의 체계
    • 종류
      • minix: 초기 리눅스 파일시스템, 64MB, 램/부팅 디스크 사용
      • ex: 2GB, 파일명 255자까지
      • ext2: 4TB, 256 바이트 까지
      • ext3: 대표 저널링 파일 시스템
      • ext4: 대부분 사용, 기능 대폭 강화
      • xfs:SGI 개발한 저널링 파일시스템
      • jfs: IBM 개발한 저널링 파일시스템
  • mount
    • 보조기억장치를 연결해서 사용 가능하게 해주는 명령
    • 특정 옵션 없이 mount 명령시 현재 마운트된 장치와 디스크 확인
    • 옵션
      • -a: /etc/fstab에 명시된 파일 시스템 마운트 할 때
      • -t: 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하지 않으면 /etc/fstab 파일을 참조
      • -o: 마운트 할 때 추가 설정 적용 시
  • umount
    • 마운트된 파일시스템 해제 명령
    • 옵션
      • -a: /etc/mtab에 명시된 파일 시스템 호출시
      • -t: 언마운트할 파일 시스템 지정시
  • eject
    • 미디어 꺼낼 때 사용
    • 자동으로 umoun 작업을 한다
  • fdisk
    • 하드디스크 초기화, 파티션 생성
    • 옵션
      • -l: 정보 출력
      • -s: 파티션 크기 출력
      • -v: 버전 출력
    • 명령
      • p: 현재 디스크 정보 출력
      • d: 파티션 삭제
      • n: 파티션 생성
      • t: 파티션 속성 변경
      • w: 변경된 파티션 정보 저장 종료
      • q: 저장하지 않고 종료
    • 작업 순서
      • fdisk→ mkfs→ mount
  • mkfs
    • 파일 시스템 만드는 명령
      • 파일시스템 유형 미지정시 ext2로 생성
    • root 만 사용 가능
    • 옵션
      • -t: 유형 지정 옵션
      • -c: 배드 블록 체크 후 파일시스템 구축
      • -v: 결과 출력
  • mke2fs
    • ext2, 3, 4 파일시스템 만드는 명령
    • 옵션
      • -j: 저널링 파일 시스템인 ext3로 만든다
      • -t: 파일시스템 유형 지정
  • fsck (file system check)
    • 리눅스 파일시스템 검사 및 수리 명령
    • 임시 디렉터리(lost+found)에서 작업 수행 후 정상 복구시 사라진다.
    • 옵션
      • -a: 자동 복구
      • -A: 모든 파일시스템 체크
      • -r: 복구 전 확인 요청
      • -v: 버전 정보
      • -V: 디렉터리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 각각의 크기
      • -s: 대형화 모드에서 여러 파일 시스템 점검, 슈퍼블럭 나열
  • e2fsck
    • ext2, 3, 4 검사 수리 명령

  • df
    • 디스크 크기, 사용량, 남아있는 용량 확인 명령어
    • 옵션
      • -h: 단위 표시
      • -k: KB 단위
      • -m: MB 단위
      • -T: 파티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유형을 보여준다
      • -i: 아이노드의 사용량 출력
  • du
    • 파일 디렉터리 크기 확인 명령
    • 옵션
      • -h: 단위
      • -b: byte
      • -k: KB
      • -m: MB
      • -a: 모든 파일의 크기
      • -s: 전체크기 합친 것(총 사용량)
  • /etc/fstab
    • 부팅시 마운트할 파티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파일
    • 6개 필드로 구성
      • 장치명
      • 마운트될 디렉터리
      • 파일시스템 유형
      • 마운트 옵션
      • 덤프 사용주기 (0이면 미사용, 1이면 매일, 2면 이틀)
      • 파일시스템 점검 순서 (fsck)
    • 마운트 옵션 종류
      • user: 마운트 권한 부여
      • usrquota: 사용자 쿼터 용량 제한
      • grpquota: 그룹별 사용
      • acl: Access Control Lists 사용
      • ro: 읽기 전용
      • rw: 읽기 쓰기
  • 디스크 쿼터
    • 사용자, 그룹의 디스크 사용량과 생성할 수 있는 파일 (디렉터리) 개수 제한 가능
    • aquota.user
      • 사용자 쿼터 관련 정보 기록
    • aquota.group
      • 그룹 쿼터 관련 정보 가록
    • inode
      • 디스크 블록이며 파일이름, 소유주, 권한,시간,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
  • edquota
    • 사용자, 그룹에 쿼터 설정시 사용
    • 실행시 vi 편집기 실행 및 기본 단위는 KB이므로 10MB=10000 입력
    • 옵션
      • -t: 리밋 초과후 적용되는 시간 제한
      • -p: 특정 사용자 쿼터를 다른 사용자에게 동일 설정으로 적용
  • repquota
    • 파일시스템 단위로 쿼터 설정 정보 출력
  • setquota
    • 쿼터 설정 명령
    • vi 이용, 직접 명령
    • 옵션
      • -u: 사용자 쿼터 설정
      • -, +: 유예 기간 설정 (초 단위)
728x90

'Computer Science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 리눅스 / 에디터  (0) 2024.09.04
[OS] 리눅스 / 프로세스, 스케줄링  (0) 2024.09.04
[OS] 리눅스 / 셸  (0) 2024.09.04
[OS] 리눅스 / 허가권, 소유권, 특수 권한  (0) 2024.09.03
[OS] 리눅스 / 디렉터리  (0) 202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