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관련기술
- 리눅스 클러스터
- 고계산용 클러스터(HPC), 부하분산 클러스터(LVS), 고가용성 클러스터(HA) 등 3가지로 구분
- HPC는 고성능의 계산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슈퍼컴퓨터 구성에 주로 사용
- LVS, HA는 보통 함께 구성하여 웹서버를 비롯한 서버 분야에서 주로 사용
- 고계산용 클러스터
- HPC, High Performance Computing cluster
- 고성능의 계산 능력에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
- 슈퍼컴퓨터가 HPC 클러스터로 구성하여 제작
- HPC 클러스터는 베어울프 클러스터라고도 한다
- PVM, MPI 같은 메시지 패싱 라이브러리가 등장하며 더 높은 성능을 내고있다
- 채널본딩한 16노드 병렬 컴퓨터를 만들어 냈다
- 슈퍼컴퓨터와 비교해도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다
- 부하분산 클러스터
- LVS, Linux Virtuar Server cluster
- 대규모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목적
- 이용자가 많은 웹서비스에 활용
- 여러 대의 리얼 서버에 부하를 분산해주는 로드 밸런서를 두고 운영하는 방법
- 고가용성 클러스터
- HA, High Availiability cluster
- Primary Node가 부하분산의 처리를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Backup Node가 프라이머리 노드의 상태를 체크하고 있다가 이상 발생시 서비스를 이어받도록 구성하는 방법
-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 목적의 클러스터
- 임베디드 시스템
-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등을 내장하여 특정한 기능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하여 만든 전자제어 시스템
- 관련 하드웨어
-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 메모리, I/O 장치, 네트워크 장치, 센서
- 관련 소프트웨어
- 운영체제, 시스템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
- 임베디드 리눅스
- 장점
- 로열티, 라이센스 비용 없음
- 커널이 안정적
- 오픈소스라 변경 재배포에 용이
- 단점
- 사용자 모드와 커널 모드 메모리 접근이 복잡하다
- 커널과 루트 파일 시스템에 많은 메모리 차지
- 장점
서버 가상화
- 가상화
- 한 컴퓨터의 물리적 시스템 자원인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을 여러 개로 나누거나, 다수의 컴퓨터들의 물리적 자원을 하나로 묶어서 제공하는 기술
- 서버 가상화
-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미들웨어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
- 장점
- 효율적인 서버 자원 이용
- 데이터, 서비스 가용성 증가
- 서버가 차지하는 공간 절약
- 단점
- 장애 발생 시 문제 해결 복잡
- 공개형 서버 가상화 기술
- 리눅스 기반의 Xen, KVM, VirtualBox
- 1세대 하이퍼바이저 활용: Oracle VM, VMWARE의 vSphere, Citrix의 XenServer
- 3세대: Openstack, Eucalyptus, OpenNebula
- Xen
- 다양한 CPU를 지원하는 하이퍼바이저 기반의 가상화 기술
- 호스트 운영체제로 리눅스, 윈도우, BSD, Solaris 등 지원
- 반가상화, 전가상화 모두 지원
- 케임브리지 대학 시작 프로젝트
- XEN 기반 제품은 Virtual Iron, Oracle VM Server
- KVM
- 전가상화 지원
- CPU 가상화 기술인 인텔의 VT, AMD-V 기반으로 동작
- QEMU라는 CPU 에물레이터 사용
- 이더넷 및 Disk I/O 반가상화 지원
- 오픈소스
- 호스트 시스템
- 시스템의 CPU는 32, 64비트
- KVM 기반 상용화 제품은 레드햇의 RHEV
- VirtualBox
- InnoTek 사 개발
- Docker
- 경량화된 가상화 기술의 일종으로 하이퍼바이버나 게스트 운영체제 없이 서버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만 격리해서 사용 가능
- 클라우드 컴퓨팅
-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외부 사용자에게 as a service로 제공되는 컴퓨팅 환경
- Iaas
- 업무 처리에 필요한 서버, 데스크톱, 스토리지 같은 하드웨어 자원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빌려쓰는 형태
- Paas
- 업무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
- 대표적으로 구글 앱엔진
- SaaS
- 기업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통째로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에게 빌려쓰는 개념
- 빅데이터
- 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넘어 대량의 정형, 비정형 데이터 집합 및 여기서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
- 관련 기술
- Hadoop
- 대규모 정형, 비정형 데이터 처리하는 분석 인프라
- 인프라 구축
- NoSQL
- 데이터를 유연하고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기술
- R
- 분석된 데이터의 의미와 가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술
- Hadoop
리눅스 기반 모바일 운영체제
- 구글 안드로이드
- 모바일 기기를 위한 운영체제, 미들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스택이자 모바일 운영체제
- 달빅 가상 머신을 통해 자바로 작성된 응용 프로그램을 별도의 프로세스로 실행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 오픈소스로 인하여 보안상의 취약점이 약점이다
- 다수의 하드웨어 제조사에 의해 탑재되므로 통일성이 떨어지고 개발상의 어려움
- 리눅스 2.6 커널위에 동작되는 모바일 운영체제
- 그외 모바일 운영체제
- 바다OS, 마에모, 모블린, 미고, 리모, 타이젠
- 미고
- 인텔의 모블린과 노키아의 마에모가 합병하여 만든 모바일 운영체제
- 타이젠
- 인텔과 삼성을 주축으로 리눅스, MeeGo 개바들이 합류하여 만든 리눅스
- 웹표준, HTML5 지원
- 스마트 TV
- 애플: 맥OS 기반
- 구글: 리눅스 기반의 안드로이드
- 삼성: 리눅스 기반의 바다 OS
- LG: 리눅스 기반의 넷캐스터 OS, Web OS
- IVI
- 자동차 내에서 CD, DVD 재생, 오디오와 비디오 재생, TV 기능,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내비 등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장치의 모음
- MS의 Window Embedded Automotive
- QNX
- 유닉스 형태의 RTOS (리눅스 미사용!)
- GENIVI
- 리눅스 기반의 표준화 자동차용 IVI
- 안드로이드
- Meego/Tizen IVI
- Meego
- 노키아의 마에모와 인텔의 모블린이 통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
- Tizen (타이젠)
- 인텔, 삼성을 주축으로 리눅스, Meego가 합류하여 만든 모바일 운영체제
- Meego
- IoT (Internet Of Things)
- 각종 사물에 컴퓨터 칩과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을 연결하는 기술
- 사물과 사람과의 통신이 주된 목적
728x90
'Computer Science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 리눅스 / 네트워크 (0) | 2024.09.05 |
---|---|
[OS] 리눅스 / X 윈도우 (0) | 2024.09.05 |
[OS] 리눅스 / 장치 (프린트, 사운드 카드, 스캐너) (0) | 2024.09.05 |
[OS] 리눅스 / 소프트웨어 설치 (rpm, yum 등) (0) | 2024.09.04 |
[OS] 리눅스 / 에디터 (0) |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