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 01 네트워크의 구조
- 네트워크
- 컴퓨터가 두 대 이상 연결되어 있으면 컴퓨터 네트워크
-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 웹 사이트 열람, 메일 송수신 가능
- 인터넷
-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네트워크
-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
- 패킷(packet)
-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
- 데이터는 작게 나누어서 보내는 것이 규칙이다.
- 데이터의 목적지에서는 원래 데이터대로 되돌리는 작업을 해야한다.
- 각 패킷에는 순서대로 번호가 있으므로 늦게 도착한 패킷도 원래 위치로 돌아간다.
Lesson 02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 디지털 데이터
- 0과 1의 집합
- 0과 1의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는 비트(bit)
- 8개가 모이면 바이트(byte)
-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바이트 단위 사용
- 0과 1의 집합
Lesson 03 랜과 왠
- 랜(LAN, Local Area Network)
- 같은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
- 지리적으로 제한된 곳에서 컴퓨터와 프린터를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 왠(WAN, Wide Area Network)
-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에 구축된 네트워크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KT, U+, SK브로드밴드 등
- 기타
- 인터넷의 시작
- 1969년 미국 국방부에서 군사 목적으로 컴퓨터 4대를 연결한 것이 인터넷의 시작
- 인터넷의 시작
Lesson 04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
- 가정에서 네트워크 구성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인터넷 회선, 인터넷 공유기
- 유선 랜
- 랜 케이블이 필요하면 유선
- 데스크톱 연결
- 무선 랜
- 무선 랜 공유기 사용
- 스마트폰 연결
Lesson 05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 소규모 회사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 DMZ(DeMilitarized Zone)라는 네트워크 영역이 있다.
- DMZ란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
- 인터넷인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한 중간 지대
- 외부에 서버를 공개하며 웹 서버, 메일 서버, DNS 서버(외부에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회사의 서버에 접속)를 공개한다.
- 회사에서는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 서버 사내 설치,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방법이 있다.
- 라우터는 무선 랜 기능이 있는 라우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각 서버나 컴퓨터는 스위치나 무선 랜 기능을 사용하여 사내 랜에 접속한다.
- 온프레미스(on-premise)
- 사내 또는 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것
728x90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Chapter 04 근거리 통신망 LAN (0) | 2023.10.20 |
---|---|
[Network]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Chapter 03 데이터링크 (1) | 2023.10.19 |
[Network]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Chapter 02 물리층 (1) | 2023.10.19 |
[Network]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Chapter 01 컴퓨터 네트워크 개요 (1) | 2023.10.17 |
[Network] 모두의 네트워크 / 2장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0) | 2023.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