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Today I Learned)/SeSAC
SeSAC 37일차 / 자바빈
Bay Im
2023. 9. 7. 10:01
SeSAC 37일차(2023-09-06)
자바빈
실습1
- Dynamic Web Project
- Project: TestJDBCWebModel2Project
- java
- BoardDAO.java, BoardDTO.java, Connectionpool.java
- jsp
- loginAction, loginForm.jsp, logout.jsp, viewLogin.jsp
- html
- login.html, loginError.html
- 메모
- DAO는 메서드 구현, DTO는 생성자와 get set 메서드
- BoardDTO 자바빈 생성시 loginAction.jsp 만 jsp:useBean에서 scope=”page”로, 나머지 jsp 파일은 scope=”session”으로 작성
- BoardDAO 자바빈 jsp:useBean 생성시 scope=”application”으로
실습2
- 이전코드 자바빈으로 바꾸기
- 메모
- useBean 사용법
- 웬만한 객체는 useBean으로 사용 (scope 주의)
- scriptlet에서 해당 bean을 수정하는 경우 꼭 log 출력
- view에서 log 출력해서 내용을 비교 (데이터가 같은지 확인)
- 이상이 발견될 경우 1번은 없애라
- useBean 사용법
자바빈 액션 태그
<jsp:useBean id="빈이름" class="자바빈 클래스 이름" scope="범위" />
// id: JSP페이지에서 자바빈 객체에 접근 할 때 사용하는 이름
// class: 패키지 이름을 포함한 자바빈 클래스의 완전한 이름을 입력
// scope: 자바빈 객체가 저장될 영역을 지정. page, request, session, application 중 하나를 값으로 갖는다. 기본값은 page
<jsp:setProperty name="자바빈" property="이름" value="값" />
// name: 프로퍼티 값을 변경할 자바빈 객체의 이름. <jsp:useBean> 액션 태그의 id 속성에서 지정한 값을 사용
// property: 값을 지정할 프로퍼티의 이름
// value: 프로퍼티 값. 표현식 사용가능
<jsp:getProperty name="자바빈" property="이름" />
// name: <jsp:useBean> 액션 태그의 id 속성에서 지정한 값을 사용
// property: 값을 가져올 프로퍼티의 이름
- request.setAttribute()
- List 타입의 데이터를 받아올 때 이용
- request.setAttribute(”객체명”, 객체)
- request.setParameter()
- String 타입의 데이터를 받아올 때 사용
- jsp:forward
- JSP 페이지의 프로그램 제어를 이동할 때 사용
<jsp:forward page="이동페이지명"/>
- param 액션 태그
<jsp:forward ~> <jsp:param name="파라미터 이름" value="파라미터 값"/> <jsp:param name="파라미터 이름" value="<%=val%>"/> </jsp:forward>
오늘의 실습 코드
https://github.com/yubin-im/SeSAC/tree/0908b19f3cf576376f07facb88f529fc58d6117f/20230906
728x90